맨위로가기

기욤 뷔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욤 뷔데는 1467년 파리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인문주의자이자 왕실 비서관이었다. 그는 오를레앙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나, 라틴어와 그리스어 등 다양한 학문을 연구하며 학문적 열정을 보였다. 뷔데는 고대 화폐 연구서인 『De Asse et Partibus Eius』(1514)를 저술하여 '프랑스의 에라스무스'라는 명성을 얻었으며, 프랑수아 1세의 존경을 받으며 콜레지움 트리링구에와 퐁텐블로 도서관 설립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왕립 교수단 창설을 건의하고 소르본 대학교의 출판 금지령 철회를 설득하는 등 사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540년 사망 당시 칼뱅주의 성향을 보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가족들은 종교적 박해를 피해 프랑스를 떠나 스위스와 포메라니아로 이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학자 - 토마 피케티
    토마 피케티는 프랑스의 경제학자이며, 경제 불평등 연구로 유명하며, 2013년 저서 《21세기 자본》을 통해 자본 축적과 소득 불평등의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당과 연계하여 정치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 프랑스의 학자 - 장 이브 타디에
    프랑스의 문학 평론가이자 작가, 번역가인 장 이브 타디에는 마르셀 프루스트 연구의 권위자로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플레이아드 총서 새 판본 작업을 주도하여 아카데미 프랑세즈 상을 수상했고, 파리-소르본 대학교 교수와 런던 프랑스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 1467년 출생 - 이현보
    이현보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으로, 연산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치며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벼슬에서 물러난 후 자연을 벗 삼아 만년을 보내며 효성이 지극하고 문장에 뛰어난 많은 작품을 남겼다.
  • 1467년 출생 - 조반니 일 포폴라노
    조반니 일 포폴라노는 메디치 가문 출신으로 피렌체 공화정 수립에 기여하여 '포폴라노'라는 칭호를 얻은 이탈리아의 외교관이자 정치가이며, 카테리나 스포르차와의 결혼으로 조반니 델레 반데 네레를 낳았다.
  • 1540년 사망 - 요한 게오르크 파우스트
    르네상스 시대 독일의 방랑자이자 점성가, 연금술사로 알려진 요한 게오르크 파우스트는 실존 여부가 불분명하지만, 후대에 악마와 계약한 마법사 "파우스트"의 원형으로 다양한 문헌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며 불멸의 캐릭터로 자리 잡았다.
  • 1540년 사망 - 김극성
    김극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별시문과 급제 후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공신에 책록되었고, 여러 요직을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으며, 김안로 사후 복귀하여 활약한 인물로, 시호는 충정이다.
기욤 뷔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욤 뷔데, 장 클루에 작, 1536년경 초상화
기욤 뷔데, 장 클루에 작, 1536년경 초상화
본명기욤 뷔데
다른 이름윌리엄 부대우스
출생1467년 1월 26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왕국
사망1540년 8월 20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왕국
국적프랑스
학력
모교오를레앙 대학교
경력
소속 기관콜레주 드 프랑스 (콜레기움 트릴링구에)
사상과 업적
분야법학
사상적 영향야누스 라스카리스
게오르게 헤르모니무스
주요 관심사르네상스 인문주의
제자멜키오르 볼마르
존 콜렛

2. 생애

기욤 뷔데는 1467년 파리의 왕실 고관 집안에서 태어났다. 오를레앙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나, 23세에 학문에 뜻을 두게 되었다. 1491년 파리 대학교에 입학하여 동로마 제국 출신 학자 Janus Lascaris|야누스 라스카리스영어와 George Hermonymus|스파르타의 헤르모니무스영어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웠다.

뷔데는 고대 화폐와 측량에 관한 논문 ''De Asse et Partibus Eius''(1514)로 큰 명성을 얻었다. 프랑수아 1세의 후원으로 장 뒤 벨레, 나르본 주교와 함께 콜레지움 트리링구에(콜레주 드 프랑스)와 퐁텐블로 도서관을 설립했다. 퐁텐블로 도서관은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기원이 되었다. 1533년에는 소르본 대학교의 출판 금지령을 철회하도록 프랑수아 1세를 설득했다.

1497년부터 왕실 비서관으로 활동했으며, 교황율리우스 2세와 레오 10세에게 파견되는 사절단에 참여했다. 1522년 소장관에 임명되었고, 여러 차례 상인 감찰관을 역임했다.

1540년 파리에서 사망하면서 한밤중에 화장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칼뱅주의 성향으로 추측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기욤 뷔데는 1467년 파리에서 태어났다.[11] 오를레앙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나, 집안 형편이 넉넉하여 수년간 나태하고 방탕한 생활을 했다.[11] 24세가 되었을 때 학문에 대한 열정이 생겨 라틴어그리스어를 비롯한 여러 학문을 연구하는 데 급진전을 이루었다.[11]

2. 2. 학문적 성취와 저술 활동

기욤 뷔데는 생전에 여러 저서를 남겼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고대 화폐와 측량을 연구한 ''De Asse et Partibus Eius''(1514년)이다. 이 책을 통해 뷔데는 "프랑스의 에라스무스"라는 명성을 얻었다.[11] 그는 고전을 섭렵했을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실지조사도 하여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저작을 남겼다. 이는 화폐사학의 선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뷔데는 콜레지움 트릴링그(프랑스 대학)와 퐁텐블로 도서관 설립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수아 1세와 장 뒤 블레, 나르본 공작의 존경을 받았으며, 특히 퐁텐블로 도서관은 파리로 옮겨져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모태가 되었다.[11]

또한 1533년 소르본 대학교의 권고로 내려졌던 출판 금지령을 프랑수아 1세에게 철회하도록 설득하기도 했다.[11]

그의 다른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플루타르코스 번역, 1502년부터 1505년까지
  • ''Annotationes in XXIV libros Pandectarum'', 파리, 1508
  • ''De contemptu rerum fortuitarum libri tres'', 파리, 1520
  • ''Epistolae'', 1520
  • ''Summaire ou Epitome du livre de Asse'', 파리, 1522
  • ''De studio litterarum recte et commode instituendo'', 파리, 1527
  • ''Commentarii linguae graecae'', 파리, 1529
  • ''De philologia'', 파리, 1530
  • ''Libellorumque magistri in praetorio, altera aeditio annotationum in pandectas'', 파리, 조스 바드, 1532
  • ''De Studio Literarum Recte Et Commode Instituendo. Item Eiusdem G. Budaei De Philologia Lib. II.'' 바젤, 1533년 3월
  • ''De transitu Hellenismi ad Christianismum libri tres'', 파리, 로베르 에티엔, 1534
  • ''De l'institution du prince'', 1547
  • ''Opera omnia'', 4권, 바젤, 1557


뷔데는 『학설휘찬 24권 주해』(Annotationes in XXIV libros Pandectarum)를 통해 로마법 대전 주석서에서 주석학파나 후기 주석학파의 해석을 공격하고, 인문주의 법학을 창시하는 저작 중 하나가 되었다.[9]

『그리스어 고찰』(Commentarii linguae graecae)은 당시 고대 그리스어 연구의 집대성이었으며, 인쇄업자 로베르 에티엔 등에게 수용되었다.[8]

『우연적인 일의 멸시에 관하여』(De contemptu rerum fortuitarum)는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의 저서를 참고하여 스토아 학파 철학을 바탕으로 쓰여졌다.[10]

『군주 교육론』(L'institution du Prince)은 유일한 프랑스어 저작으로, 프랑수아 1세에게 헌정되었으며, 왕에게 문헌학의 중요성 등을 설파했다.[8]

그 외에도 플루타르코스의 소품 라틴어 번역, 『문학 연구』, 『학예애에 대하여』, 『헬레니즘에서 기독교로의 이행에 관하여』 등의 저작과[8] 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알차토, 라블레 등과의 서신 왕래가 현존한다. 서신에는 라틴어뿐만 아니라 그리스어도 사용되고 있다.

2. 3. 왕실과의 관계 및 사회 활동

기욤 뷔데는 프랑수아 1세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으며, 장 뒤 벨레, 나르본 주교와 함께 콜레지움 트리링구에(후에 콜레주 드 프랑스)와 퐁텐블로의 도서관을 설립하도록 설득하였다.[3] 이 도서관은 파리로 옮겨져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기원이 되었다.[3] 1520년, 프랑수아 1세의 "금란의 들판"에 수행했다.[8]

1533년 소르본 대학교의 권고에 따라 프랑스에서 인쇄를 금지하는 것을 막도록 프랑수아 1세를 설득했으며,[3] 1530년에는 콜레주 드 프랑스의 전신이 되는 "왕립 교수단"을 파리 대학교 신학부의 수구파에 대항하여 프랑수아 1세에게 건의하여 창설하게 했다.[8]

뷔데는 루이 12세에 의해 교황 레오 10세에게 로마로 대사로 파견되기도 하였으며,[3] 1497년부터 왕실 비서관이 되었고, 교황율리우스 2세와 레오 10세에게 파견되는 사절에 참여했다.[8] 1522년에는 소장관으로 임명되었고, 여러 번 상인 감찰관을 역임했다.[3] 같은 해 프랑수아 1세의 왕실 도서관장 및 청원 청문관이 되었다.[8]

2. 4. 종교적 성향과 죽음

1540년 파리에서 세상을 떠날 당시 뷔데는 한밤중에 화장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11] 그의 미망인이 제네바에서 개신교 공개 활동을 했던 것으로 알려져(남편이 죽자 활동 중단) 뷔데가 칼뱅주의 성향이 아니었나 하는 추측이 있다.[11]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이 벌어지자 뷔데의 가족들은 프랑스를 떠날 수밖에 없었으며, 그 중 일부는 스위스로 피난해 가문의 전통을 굳게 지켰고, 나머지는 포메라니아에 정착해 뷔데 / 부도이스 (Budde / Buddeus)로 개명하여 살았다고 전해진다 (요한 프란츠 부도이스 참고).[11]

아들 뷔데에 의하면, 칼뱅의 시편 강의를 들으면서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 다른 친구들과 함께 필기를 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 강의의 내용이 너무나도 은혜롭고 감동이 되어 자기들만 그런 명강의를 듣고 다른 사람들이 듣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해서 필기한 친구들이 서로 노트를 비교하고 보충하여 칼빈에게 보이고 내용 확인과 수정을 가한 후에 출판하도록 했다고 한다. 칼빈은 그의 주석에서 화폐와 도량에 관하여 기욤 뷔데의 견해에 전적으로 동의와 존경을 표했다.

뷔데는 죽기 전 밤에 매장될 것을 요청했으며, 그의 미망인이 제네바에서 공개적으로 개신교 신앙을 고백한 사실(그녀는 그의 사후 제네바로 은퇴했다)로 인해 그는 칼뱅주의로 기울어졌다는 의심을 받았다.[3] 그의 에라스무스와의 서신 일부에서도 이러한 종교적 성향이 드러난다.[3]

생애 가톨릭 신자였지만, 내심은 반 가톨릭적이었음이 시사된다. 그 예로, 성경원전 비판에 통달하기 위해 교회에서 위험시하던 그리스어를 연구한 것, 유언으로 간소한 장례를 원했던 것, 사후에 처자가 칼뱅주의의 도시 제네바로 이주하여 개종한 것을 들 수 있다.

3. 주요 저서


  • 플루타르코스 번역 (1502년~1505년)
  • ''Annotationes in XXIV libros Pandectarum'' (파리, 1508년)
  • ''Annotationes in quattuor et viginti pendectarum libros'' (파리, 조스 바드, 1532년)
  • Annotationes in XXIV Pandectarum libros|Annotationes in XXIV Pandectarum librosla (Sébastien Gryphius|세바스티앙 그리피우스la, 리옹, 1541년)
  • Annotationes in XXIV Pandectarum libros|Annotationes in XXIV Pandectarum librosla (Sébastien Gryphius|세바스티앙 그리피우스la, 리옹, 1546년)
  • ''De contemptu rerum fortuitarum libri tres'' (파리, 1520년)
  • ''Epistolae'' (1520년)
  • Libri V de Asse et partibus ejus|Libri V de Asse et partibus ejusla (Aldo Manuzio, eredi & Andrea Torresano|알도 마누치오, 상속자 & 안드레아 토레사노la, 베네치아, 1522년)
  • ''Summaire ou Epitome du livre de Asse'' (파리, 1522년)
  • ''De studio litterarum recte et commode instituendo'' (파리, 1527년)
  • ''Commentarii linguae graecae'' (파리, 1529년)
  • ''Commentarii Linguae Græcae, Gulielmo Budaeo, consiliario Regio, supplicumque libellorum in Regia magistro, auctore. Ab eodem accuratè recogniti, atque amplius tertia parte aucti'' (Ex officina Roberti Stephani typographi Regii|왕실 인쇄업자 로베르 에티엔의 공방에서la, 파리, 1548년)
  • ''De philologia'' (파리, 1530년)
  • ''Libellorumque magistri in praetorio, altera aeditio annotationum in pandectas'' (파리, 조스 바드, 1532년)
  • ''De Studio Literarum Recte Et Commode Instituendo. Item Eiusdem G. Budaei De Philologia Lib. II.'' (바젤, apud Ioan. Walderum|요안 발더룸에서la, 1533년 3월)
  • ''De transitu Hellenismi ad Christianismum libri tres'' (파리, 로베르 에티엔, 1534년)
  • ''De l'institution du prince'' (1547년)
  • ''Opera omnia'' (4권, 바젤, 1557년)
  • 『그리스어 고찰』(''Commentarii linguae graecae'') - 당시 고대 그리스어 연구의 집대성[8]。인쇄업자 로베르 에티엔 등에 수용되었다[8]
  • 『고대 화폐 고찰』(''De Asse et Partibus Eius'') - 고전 속 화폐를 프랑스 화폐로 환산한 획기적인 저작. 화폐사학의 선구 중 하나로, 고전 섭렵 및 시장 실지조사를 병행했다.
  • 『학설휘찬 24권 주해』(''Annotationes in XXIV libros Pandectarum'') - 전후편으로 나뉜 로마법 대전 주석서. 주석학파 및 후기 주석학파의 해석을 공격, 인문주의 법학 창시에 기여했다[9]
  • 『우연적인 일의 멸시에 관하여』(''De contemptu rerum fortuitarum'') - 세네카의 De Tranquillitate Animi|마음의 평정에 관하여la』에 나타난 스토아 철학을 참고하여 쓰여졌다[10]
  • 『군주 교육론』(''L'institution du Prince'') - 유일한 프랑스어 저작. 프랑수아 1세에게 헌정, 왕에게 문헌학의 중요성 등을 설명했다[8]


그 외 플루타르코스 소품의 라틴어 번역, 『문학 연구』, 『학예애에 대하여』, 『헬레니즘에서 기독교로의 이행에 관하여』 등의 저작[8]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알차토, 라블레 등과의 왕복 서간(라틴어 및 그리스어)이 현존한다.

4. 평가 및 영향

제네바에서 공개적으로 개신교 신앙을 고백한 그의 미망인으로 인해 그는 칼뱅주의로 기울어졌다는 의심을 받았다.[3] 에라스뮈스와의 서신 일부에서도 이러한 종교적 성향이 드러난다.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당시, 그의 가족 구성원들은 프랑스에서 도망쳐야 했다. 일부는 스위스로 피신하여 가문의 전통을 훌륭하게 지켰고, 다른 사람들은 부데 또는 부데우스(Budde 또는 Buddeus, 요한 프란츠 부데우스 참조)라는 이름으로 스웨덴령 포메라니아에 정착했다.[3]

부데는 어원론과 역사를 적용하여 로마법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Annotationes in XXIV. libros Pandectarum''(1508)과, 프랑스에서 그리스 문학 연구에 크게 기여한 방대한 어휘적 노트 모음집인 ''Commentarii linguae Graecae''(1529)의 저자이기도 하다.[3] ''Epistolae''(1520)는 부데의 방대한 서신 중 극히 일부만을 담고 있으며, 놀라운 순수함으로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부데는 에라스뮈스, 토머스 모어 등 당대 가장 학식이 높은 인물들과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에라스뮈스는 그를 "프랑스의 경이"라고 칭했다. 그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똑같이 유창하게 구사했다.[3]

「뷔데 총서」와 그 후원 단체인 "기욤 뷔데 협회"의 이름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Classical Heritage in France Brill 2002
[2] 웹사이트 Guillaume Budé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23-12-02
[3] 문서 Budé, Guillaume
[4] 서적 Guillaume Bude and Humanism in the Reign of Francis I https://books.google[...] Geneve Librairie Droz 2015-05-20
[5] 간행물 Chancellerie et Culture 1993
[6] 웹사이트 ジャン・クルーエ『ギヨーム・ビュデの肖像』 https://japanknowled[...] 2022-09-14
[7] 웹사이트 「フランス人の日本文化熱」恩田侑布子氏パリレポート {{!}} Bunkamuraドゥマゴ文学賞 {{!}} Bunkamura https://www.bunkamur[...] 2022-09-18
[8] 웹사이트 西洋古版本の手ほどき 2008 No. 3 http://www.f.waseda.[...] 2022-09-18
[9] 웹사이트 ビュデ『学説類集24巻注解前編』 [第2部 5/10] https://www.lib.fuku[...] 2022-09-18
[10] 서적 ヘレニズム哲学 ストア派、エピクロス派、懐疑派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1] 문서 Budé, Guillau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